Big Generator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ig Generator는 1987년 발매된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예스의 열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 앨범은 1983년 앨범 《90125》의 월드 투어 이후 기획되었으며, 트레버 혼이 프로듀싱을 맡았지만 중도 하차하여 트레버 라빈이 중심이 되어 완성했다. 앨범 제목은 밴드의 콘서트 영화 《9012Live》에서 유래되었으며, 팝적인 성향이 강해진 음악 스타일과 가사, 그리고 앨범 제작 과정에서의 갈등 등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15위, 영국 음반 차트에서 17위를 기록했으며, 미국 음반 산업 협회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 앨범 발매 후 존 앤더슨은 밴드를 탈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스의 음반 - Close to the Edge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예스가 1972년에 발표한 다섯 번째 스튜디오 음반인 Close to the Edge는 18분 길이의 대곡 〈Close to the Edge〉를 포함한 세 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미국 빌보드 200 차트 3위, 영국 앨범 차트 4위를 기록하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예스의 음반 - 90125
《90125》는 1983년 예스가 발매한 앨범으로, 트레버 라빈의 합류와 존 앤더슨의 재결합으로 제작되었으며, 트레버 혼의 프로듀싱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1987년 음반 - E.S.P. (비지스의 음반)
비지스의 1987년 앨범 E.S.P.는 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복귀작으로 아리프 마르딘이 프로듀싱을 맡았으며, "You Win Again"을 포함한 히트곡들과 페어라이트 CMI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유럽에서의 성공, 그리고 2백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 1987년 음반 - Spirits Having Flown
Spirits Having Flown은 비지스가 1979년 1월 24일에 발매한 앨범으로, 새터데이 나이트 피버 사운드트랙 이후 2년 만에 발표되었으며, 발매 전 내용 유출로 발매일을 앞당겨 〈Too Much Heaven〉, 〈Tragedy〉, 〈Love You Inside Out〉 등의 싱글을 히트시키며 상업적 성공과 2천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했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How the West Was Won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 음반인 How the West Was Won은 1972년 콘서트 실황을 담아 2003년 발매 후 평론가들의 극찬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지미 페이지의 편집과 오디오 엔지니어링을 거쳐 2018년 리마스터링 재발매되었다. - 애틀랜틱 레코드 음반 - Led Zeppelin III
레드 제플린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Led Zeppelin III는 지미 페이지와 로버트 플랜트가 어쿠스틱 사운드를 특징으로 작곡하여 하드 록과 헤비 메탈 이미지로부터 음악적 변화를 시도한 작품으로, 발매 당시 평가는 엇갈렸으나 음악적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재평가받고 있다.
| Big Generator - [음악]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유형 | 스튜디오 음반 |
| 아티스트 | Yes |
| 발매일 | 1987년 9월 28일 |
| 녹음 기간 | 1985년–1987년 |
| 장르 | 팝 록 |
| 길이 | 43분 14초 |
| 레이블 | Atco |
| 프로듀서 | Yes Trevor Horn Trevor Rabin Paul De Villiers |
| 이전 음반 | 9012Live: The Solos |
| 이전 음반 발매일 | 1985년 |
| 다음 음반 | Union |
| 다음 음반 발매일 | 1991년 |
| 녹음 장소 | |
| 스튜디오 | Lark Recording Studios (Carimate, 이탈리아) SARM East SARM West AIR Studios (런던, 잉글랜드) Southcombe Studios Westlake Studios Sunset Sound Studios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
| 싱글 | |
| 싱글 1 | Love Will Find a Way |
| 싱글 1 발매일 | 1987년 9월 14일 |
| 싱글 2 | Rhythm of Love |
| 싱글 2 발매일 | 1987년 12월 7일 |
| 차트 성적 | |
| 일본 | 14위 |
| 미국 | 15위 |
| 영국 | 17위 |
| 뮤직 비디오 | |
| 리듬 오브 러브 | Rhythm Of Love |
| 사랑은 길을 찾을 거야 | Love Will Find A Way |
| 평가 | |
2. 배경
1985년 2월, 존 앤더슨, 베이시스트 크리스 스콰이어, 키보디스트 토니 케이, 드러머 앨런 화이트, 기타리스트이자 보컬리스트 트레버 라빈으로 구성된 예스는 11번째 스튜디오 음반 《90125》(1983년)를 지원하기 위한 12개월간의 월드 투어를 마쳤다.[34] 이 음반은 1970년대의 선구적인 프로그레시브 록 사운드에서 벗어나 트레버 혼의 프로듀싱과 라빈의 데모 제작에 힘입어 더 대중적인 팝 지향적인 음악으로 변화를 꾀한 앨범이었다. 《90125》는 〈Owner of a Lonely Heart〉의 히트에 힘입어 밴드의 가장 많이 팔린 음반이 되었고, 〈Cinema〉로 최우수 록 연주상을 수상하면서 예스의 유일한 그래미 어워드를 안겨주었다.
1985년 8월,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에서 리허설이 시작되었고, 트레버 혼이 다시 프로듀서를 맡았다.[35][36] 그러나 제작은 순탄치 않았다. 트레버 라빈은 음반사인 앳코 레코드가 〈Owner of a Lonely Heart〉와 같은 히트곡을 원한다는 압박을 받았지만, 밴드의 과거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시도하고 싶어했다.[37]
90125의 커버 아트를 담당했던 디자이너 게리 무아트(Garry Mouat)는 클래식 록과의 인터뷰에서 존 앤더슨이 "두루마리 그림"과 같은 아이디어를 냈지만, 다른 멤버들의 반응은 미지근했다고 회상했다.[41]
《Big Generator》 음반에는 다음과 같은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1985년 8월,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에서 트레버 혼을 프로듀서로 다시 초빙하여 리허설을 시작했다.[35][36] 라빈은 앳코 레코드로부터 〈Owner of a Lonely Heart〉와 같은 또 다른 히트곡을 원한다는 압박을 받았지만, 밴드의 과거에서 벗어나 새로운 음악을 시도하고자 했다.[37] 리더 존 앤더슨은 "음악성"을 확장하고 "더 모험적인" 노래를 시도하길 원했지만, 혼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앤더슨은 곡들이 거의 완성될 때까지 작곡 과정에서 배제되었는데, 그는 라빈에게 "스트라빈스키주의에 뛰어들어" 음악적 아이디어로 "미치도록" 격려하고 싶었기 때문에 이를 "큰 실수"라고 평가했다.[38] 케이는 밴드가 선입견 없이 많은 곡을 준비했고, 그 중 많은 곡들이 이미 편곡되어 가사를 가지고 있었지만, 라빈이 그룹 전체의 노력을 원했기 때문에 강요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케이는 즉흥 연주에 기반한 노래에는 거의 관심이 없었다.[39]
이 음반의 제목은 밴드의 콘서트 영화 《9012Live》(1985년)의 마지막 부분에서 색이 칠해진 부분 중 한 배우가 "그것은 큰 발전기의 리듬이다"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유래했으며, 이 문구가 밴드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40]
3. 제작 과정
존 앤더슨은 밴드의 음악성을 확장하고 "더 모험적인" 노래를 시도하길 원했지만, 혼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앤더슨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풍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추구하길 원했으나, 혼은 팝적인 방향을 선호하며 앤더슨을 작곡 과정에서 배제했다.[38] 토니 케이는 라빈이 이미 많은 곡을 준비했지만, 밴드 전체의 노력을 원했기 때문에 강요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39]
라빈의 제안으로 밴드는 이탈리아 카리마테의 카리마테 성 옆에 있는 Lark Recording Studios에서 녹음하기로 했다.[21] 그러나 크리스 스콰이어는 이 결정을 돈을 절약하고 세금 문제를 위한 것이라며 비판했다.[9] 카리마테에서 3개월 후, 대부분의 백킹 트랙이 완성되었지만, 잦은 파티와 멤버 간의 불화로 작업에 차질이 생겼다.[9]
결국 혼은 제작을 중단하고 런던에서 다시 시작할 것을 제안했다. 런던의 SARM East, SARM West 및 AIR Studios에서 녹음이 진행되었지만, 밴드 멤버 간의 의견 차이는 좁혀지지 않았다.[21] 결국 혼은 밴드와의 불화, 특히 앤더슨, 케이와의 의견 차이로 인해 프로젝트에서 하차했다.[9]
라빈은 로스앤젤레스로 돌아와 Paul DeVilliers와 함께 Southcombe, Westlake 및 Sunset Sound Studios에서 앨범을 완성했다.[21][10] 최종 프로듀서 명단에는 예스, 트레버 라빈, 폴 드비예, 트레버 혼이 포함되었다.
''Big Generator''는 예스가 처음으로 디지털 레코딩 방식을 도입한 앨범이다. 스콰이어는 당시 아무도 디지털을 믿지 않아 아날로그로도 백업 데이터를 녹음했다고 회상했다.
4. 커버 아트
5. 곡 목록
5. 1. 정규 트랙
|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 Rhythm of Love | 토니 케이, 트레버 라빈, 존 앤더슨, 크리스 스콰이어 | 4:49 |
| Big Generator | 라빈, 케이, 앤더슨, 스콰이어, 앨런 화이트 | 4:31 |
| Shoot High Aim Low | 화이트, 케이, 라빈, 앤더슨, 스콰이어 | 6:59 |
| Almost Like Love | 케이, 라빈, 앤더슨, 스콰이어 | 4:58 |
| Love Will Find a Way | 라빈 | 4:48 |
| Final Eyes | 라빈, 케이, 앤더슨, 스콰이어 | 6:20 |
| I'm Running | 라빈, 스콰이어, 앤더슨, 케이, 화이트 | 7:34 |
| Holy Lamb (Song for Harmonic Convergence) | 앤더슨 | 3:15 |
5. 2. 리마스터반 보너스 트랙 (2009년)
2009년에 CD 리마스터반이 발매되면서 음질이 향상되었고, 다음과 같은 보너스 트랙이 추가되었다.| 번호 | 제목 |
|---|---|
| 9 | 러브 윌 파인드 어 웨이 (에디트 버전) |
| 10 | 러브 윌 파인드 어 웨이 (익스텐디드 버전) |
| 11 | 리듬 오브 러브 (댄스 투 더 리듬 믹스) |
| 12 | 리듬 오브 러브 (무브 투 더 리듬 믹스) |
| 13 | 리듬 오브 러브 (더 리듬 오브 덥) |
6. 평가 및 반응
''Big Generator''는 1987년 9월 28일에 발매되어 빌보드 200 차트에서 15위, 영국 음반 차트에서는 17위를 기록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17]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17] 또한,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록 듀오 또는 그룹 보컬 퍼포먼스 부문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17]
올뮤직은 이 음반에 5점 만점에 2점을 주었고,[15] ''롤링 스톤 앨범 가이드''는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했다.[16] ''뮤지션''의 J. D. 컨시딘은 "그냥 거절해라."라고 평했다.[18]
이 앨범에서 발매된 싱글 〈Love Will Find a Way〉는 빌보드 메인스트림 록 차트에서 1위를, 빌보드 핫 100에서는 30위를 기록했다. 또 다른 싱글 〈Rhythm of Love〉는 빌보드 핫 100에서 40위에 올랐다.
음악적으로는 전작 《90125》에 비해 프로그레시브 록적인 요소가 줄어들고 팝적인 색채가 강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일부 팬들과 평론가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실망감을 표현하기도 했다. 특히 가사에서 기존 예스가 가진 환상성이나 추상성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었다.
존 앤더슨은 완성된 앨범과 밴드의 모습에 실망하여 밴드를 탈퇴하고 앤더슨·브라포드·웨이크먼·하우를 결성하여 《섬광》을 발표했다.
6. 1. 대한민국에서의 반응
대한민국에서는 1980년대 후반, 팝 음악, 특히 록 음악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예스의 음악도 많은 관심을 받았다. Big Generator 앨범의 "Love Will Find a Way"는 라디오를 통해 자주 방송되며 인기를 얻었고, 앨범 판매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당시 록 음악 애호가들 사이에서는 예스의 음악적 변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오갔다.7. 투어
예스는 1987년 11월부터 1988년 4월까지 북미와 일본에서 ''Big Generator'' 앨범 발매를 기념하는 투어를 진행했다. 밴드는 스튜디오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기 때문에 투어를 통해 새로운 곡들을 선보이고 싶어했으며, 1987년 공연에서는 소극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다.[19] 1988년 초, 플로리다주 탬파에서 공연을 마친 후 라빈이 독감과 고열로 인한 피로로 무대 뒤에서 쓰러져 6번의 공연이 취소되기도 했다.[20]
8. 참여 멤버
'''예스'''
- 존 앤더슨 – 보컬
- 트레버 래빈 – 보컬, 어쿠스틱 및 일렉트릭 기타, 키보드, 현악 편곡
- 토니 케이 – 키보드
- 크리스 스콰이어 – 베이스 기타, 백 보컬
- 앨런 화이트 – 드럼, 퍼커션, 백 보컬
'''추가 참여자'''
- 리 R. 손버그 – "Almost Like Love"의 혼
- 닉 레인 – "Almost Like Love"의 혼
- 그렉 스미스 – "Almost Like Love"의 혼
- 지미 자발라 – "Almost Like Love"의 혼, "Love Will Find a Way"의 하모니카
9. 기타
《Big Generator》 앨범 발매 후, 존 앤더슨은 밴드의 음악적 방향에 실망하여 탈퇴했다.[38] 이후 앤더슨은 앤더슨 브루포드 웨이크먼 하우를 결성하여 《섬광》을 발표, 프로그레시브 록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당시 예스 내부의 음악적 갈등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다. 앤더슨은 트레버 라빈에게 "스트라빈스키적인 음악"에 뛰어들어 음악적 아이디어로 "미친 듯이 날뛰도록" 장려하고 싶었으나, 프로듀서 트레버 혼은 앤더슨을 작곡 과정에서 배제했고, 이는 "큰 실수"였다고 앤더슨은 회상했다.[38]
참조
[1]
웹사이트
Music Week
https://www.worldrad[...]
[2]
서적
Close to the Edge: The Story of Yes
Omnibus Press
[3]
웹사이트
Music Week
https://www.worldrad[...]
[4]
웹사이트
Yes Shows – 1980s – 1985
http://forgotten-yes[...]
Forgotten Yesterdays
2017-07-16
[5]
간행물
Yes: Back to Back
http://www.muzines.c[...]
2020-10-15
[6]
뉴스
'Jon Anderson Talks ''Big Mistake'' Yes Made at Height of Success, Shares Opinion on Current Lineup & Playing With Rush''s Geddy Lee'
https://www.eonmusic[...]
Ultimate Guitar
2020-09-08
[7]
뉴스
Reconstituted Yes a band whose future looks positive
http://forgotten-yes[...]
2022-06-08
[8]
간행물
The Yes Generation
http://www.muzines.c[...]
2022-06-12
[9]
웹사이트
Conversation with Trevor Rabin [NFTE #270]
http://nfte.org/inte[...]
Notes from the Edge
2017-07-15
[10]
간행물
Yes, There's Finally a New Yes Album
https://worldradiohi[...]
2021-09-27
[11]
웹사이트
Home Recording Visits: Trevor Rabin [From NFTE #243]
http://nfte.org/inte[...]
2017-07-19
[12]
웹사이트
Meeting Trevor Rabin
http://zenponies.com[...]
2018-04-02
[13]
뉴스
Trevor Rabin: Consequential Themes
https://www.innervie[...]
Innerviews
2023-09
[14]
간행물
Sleevenotes
2002-12
[15]
AllMusic
2012-05-18
[16]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004
[17]
웹사이트
Gold & Platinum – Search – Big Generator
https://www.riaa.com[...]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2017-07-16
[18]
간행물
Big Generator
1988-01
[19]
뉴스
Yes's new mix for the eighties
http://forgotten-yes[...]
2022-12-12
[20]
뉴스
In terms of chart action, Yes is a 'Big Generator'
http://forgotten-yes[...]
2022-06-08
[21]
AV media
Big Generator
Atco Records
[22]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23]
서적
Sisältää hitin –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vuodesta 1972
Kustannusosakeyhtiö Otava
[24]
웹사이트
Classifiche
http://www.musicaedi[...]
2022-05-27
[25]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26]
웹사이트
Top Billboard 200 Albums – Year-End 1988
https://www.billboar[...]
2021-06-21
[27]
웹사이트
Yes Big Generator WEA Canada Platinum Award
https://musicgoldmin[...]
2023-04-23
[28]
문서
『オリコンチャート・ブックLP編(昭和45年‐平成1年)』(オリジナルコンフィデンス/1990年/ISBN 4-87131-025-6)p.73
[29]
웹사이트
Big Generator - Yes : Awards : AllMusic
http://www.allmusic.[...]
[30]
웹사이트
ChartArchive - Yes
http://chartarchive.[...]
[31]
문서
1994年発表のアルバム『トーク (アルバム)|トーク』では、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ディングに挑んだ。
[32]
AllMusic
2012-05-18
[33]
서적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Simon & Schuster
2004
[34]
웹인용
Yes Shows – 1980s – 1985
http://forgotten-yes[...]
Forgotten Yesterdays
2017-07-16
[35]
영상
Big Generator
Atco Records
[36]
잡지
Yes: Back to Back
http://www.muzines.c[...]
2020-10-15
[37]
웹인용
Conversation with Trevor Rabin [NFTE #270]
http://nfte.org/inte[...]
Notes from the Edge
2017-07-15
[38]
뉴스
Jon Anderson Talks 'Big Mistake' Yes Made at Height of Success, Shares Opinion on Current Lineup & Playing With Rush's Geddy Lee
https://www.ultimate[...]
ultimate-guitar.com
2020-09-08
[39]
잡지
The Yes Generation
http://www.muzines.c[...]
2022-06-12
[40]
뉴스
Reconstituted Yes a band whose future looks positive
http://forgotten-yes[...]
2022-06-08
[41]
잡지
Sleevenotes
2002-12-00
[42]
웹인용
Yes Big Generator WEA Canada Platinum Award
https://musicgoldmin[...]
2023-04-23
[43]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